본문 바로가기
AI TECH

AI가 일자리를 대체한다? YES! (feat. 언더스탠딩 유투브)

by Guinni 2024. 3. 12.
728x90

[언더스탠딩 유투브 내용에 기반하여 재작성하였습니다.]

 

누구나 AI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진입장벽이 낮아졌기 때문에 임금 단가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번역 일이 줄었다고 해서 번역가들이 일자리를 잃는다?

 

<반론>

 

번역가들이 다른 이미지 생성 등의 일을 할 수 도 있다. 단순히 일자리 줄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느냐?

AI로 인해서 오히려 일자리가 많이 생길 것이다. 

 

<반론의 반론>

 

일자리가 늘어나려면 수많은 기업들이 모두 AI를 쓰겠다고 했을 때, 머신러닝 개발자를 채용해야 한다.

그런데 AI를 직접 개발하지 못하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외주를 주고,

Revealera. com 자료에 따르면 머신러닝 엔지니어들은 더이상 뽑지 않는다.

 

백앤드 디벨로퍼(실제 개발자,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는 줄어든다.

중소기업들은 직접 AI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대기업이 만든 것 쓰고, 새로 고용하지 않는다.

 

회사에서 고성과자들만 남을 수 있다?

시니어들만 살아남고, 주니어들은 없어질 수 있다?

Upwork 자료에 따르면 고성과자들의 경우 저성과자들에 비해 챗GPT 출시 후 '글쓰기' 직무자들의 보수나 일감이 줄어들었다. AI가 써 주니까 이들에 대한 수요가 시장에 반영된 것일까? 고성과자들의 임금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고성과자들을 안 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어나는 일자리가 있을 것이다?

미국 빅테크의 경우 layoff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에 투자하기 위해서, 사람들을 내보내겠다. 인공지능 때문에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 개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layoff 가 발생할 수 있다!

 

생성AI 개발 이전의 거시적 연구 수행 결과(80여개 국가) 에  따르면, 2010~2019년동안 AI 투자 금액과 노동시장 변동을 조사해서 실증분석한 결과, 인공지능과 투자 간 관계는 음(-)의 관계가 있다. 고용을 줄이는데 기여했다. 특히 중국 기술자들의 고용이 줄었다. 노동소득 분배율을 낮췄다. (이유는? 설비투자에 쓰여서?? )

 

데런 아세모글로 교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생산성 밴드 웨건' 이론에 따르면 자동화로 인해 생산성이 늘어난다면, 투자를 더하게 되고 고용이 늘어난다. (예: 타자 문서를 10개 생산하던 회사가 복사기를 들여와서, 생산하게 되면 더 많이 팔 수 있는데) 그런나 직종에 따라 다르다. 마트에서 계산을 하는 사람은 그냥 그 사람이 없어진다. 기술의 종류,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르다. 마트 캐시어 자동화 시키면 사람이 없어져 버린다. 

 

사람과 기술이 상호작용하는 경우,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가 더 생길 수 있다. 그러나 기계가 사람을 대체해버리면 피고용인은 일자리를 잃고, 고용인은 돈을 더 버는 시스템이 된다.  생산성이 늘면 사회의 부는 늘어나지만 불평등은 커질 수 있다.  

 

보완성 있는 직업들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역할은 남을 것이다?

BIS 에 따르면 소득분위별로 보완성(potential complementarity)이 있는 직업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보완성이 높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다. 고소득자의 경우 일자리가 기술과 보완적이고, 저소득자의 경우 일자리가 대체된다. 

 

그런데 생성AI의 경우 보완성이 낮다는 점이 문제!

AI가 특정 계층에게는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챗봇 만드는 일자리는 늘어나고 있다. 기업은 AI를 사용하는 사람을 (적당한 비용으로) 열심히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분야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은 보강할 필요가 있다.

'AI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드저니의 "consistent characters" 기능 추가  (0) 2024.03.15
미드저니?  (0) 2024.03.13
알고리즘(algorithm) 이란?  (2) 2024.03.11
블로그 운영과 글쓰기  (0) 2024.03.09
머신러닝과 딥러닝 차이  (0) 2024.03.09